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존 슈스터

덤프버전 :

존 슈스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로고.svg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자 컬링 국가대표
스킵서드세컨드리드핍스
피트 펜슨숀 로제스키조 폴로존 슈스터스캇 바드

파일: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로고.svg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자 컬링 국가대표
스킵서드세컨드리드핍스
존 슈스터제이슨 스미스제프 아이작슨존 벤튼크리스 플라이스[1]

파일:2014 소치 동계올림픽 로고.svg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자 컬링 국가대표
스킵서드세컨드리드핍스
존 슈스터제프 아이작슨자레드 제젤존 랜즈타이너크레익 브라운

파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 로고.svg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자 컬링 국가대표
스킵서드세컨드리드핍스
존 슈스터타일러 조지맷 해밀턴존 랜즈타이너조 폴로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로고.svg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자 컬링 국가대표
스킵서드세컨드리드핍스
존 슈스터크리스 플라이스맷 해밀턴존 랜즈타이너콜린 허프먼

[1] 별도로 팀을 이끌고 있었고, 밴쿠버 올림픽 한정으로 합류했다.

존 슈스터
John Shuster
파일:John_Shuster.jpg
출생1982년 11월 3일 (41세)
미네소타 주 치스홀름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종목컬링
소속덜루스 컬링 클럽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
1. 개요
2. 선수 경력
3. 수상 기록
4. 역대 WCF 팀 랭킹
5. 역대 팀원
6. 기타



1. 개요[편집]


미국컬링 선수이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남자 컬링 금메달리스트다. 총 5번의 올림픽에 출전했다.


2. 선수 경력[편집]


13살 때 컬링을 시작했다. 첫 국제대회 출전은 피트 펜슨 팀의 리드로 합류한 후 2003년 세계선수권이었다.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펜슨 팀이 미국 대표팀으로 선발됐고 팀은 동메달을 땄다. 이는 미국 컬링 대표팀의 첫 올림픽 메달이었다.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이후 2007년 슈스터는 펜슨 팀을 나와 새로 팀을 꾸렸다. 2009년 2월에 있었던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겸 2009 세계선수권 대표팀 선발전에서 타일러 조지 팀을 꺾고 우승했다. 세계선수권에서는 타이브레이크에서 노르웨이의 토마스 울스루 팀에게 지면서 결선 진출에 실패했고, 올림픽에서는 2승 7패로 꼴찌를 했다. 슈스터 본인의 부진 때문에 대회 도중 코칭스태프의 결정에 따라 슈스터 대신 핍스였던 크리스 플라이스가 대신 스킵을 나오기도 했다.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후 슈스터는 크레익 브라운 팀에 합류해 1시즌 활동하고 다시 자신만의 팀을 새로 만들었다. 미국선수권에서는 우승하지 못했지만, 2013년 11월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대표팀 선발전에서는 과거 팀 동료였던 피트 펜슨 팀을 꺾고 우승했다. 미국 남자 대표팀은 올림픽에 자동 진출하기 위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최종예선을 거쳐야 했는데, 타이브레이크에서 한국의 김수혁 팀(강원도청)을 꺾고 결선에 진출해 독일에 이어 2번째로 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3번 연속 올림픽에 출전하게 된 슈스터였지만,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도 2승 7패로 9위를 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의 초라한 성적 때문에 올림픽 직후 슈스터는 이메일로 미국 컬링 국가대표 프로그램에서 탈락했다는 통보를 받았다. 그러나 슈스터는 이에 굴하지 않고 16kg을 감량했고, 자신과 비슷한 처지였던 선수를 모았다. 서드 타일러 조지는 당시 은퇴해 고향에서 주류 판매점을 운영하려고 했었고, 세컨드를 맡게 되는 맷 해밀턴은 기존 팀에서 필요없다고 쫓겨난 상태였다. 리드를 맡게 되는 랜즈타이너는 원래 슈스터와 같은 팀에서 활동한 사이였는데, 올림픽 이후로는 본업인 기계공에 집중하려다가 슈스터의 권유로 팀에 합류하게 됐다. 슈스터는 새로운 팀에 대해 '거부당한 자들(The Rejects)'이라고 자칭했다.

2015년 전미선수권 때 슈스터의 팀은 예선에서 1번 졌을 뿐 압도적인 성적으로 우승했고, 세계선수권에서는 타이브레이크에서 패하는 바람에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미국 남자 컬링 대표팀으로서는 2010년대 들어 최고의 성적이었다. 이에 미국 컬링 국가대표 프로그램 관계자들은 자신들의 오판을 인정하고 슈스터 팀을 다시 국가대표 프로그램에 합류시켰다. 2016년 미국선수권에서는 준우승했지만 우승팀인 브래디 클락 팀이 협회 규정상 필요한 투어 대회 성적에 미달한 탓에 대신 세계선수권에 출전했고, 동메달 결정전에서 일본의 모로즈미 유스케 팀을 꺾고 동메달을 땄다. 미국 남자 컬링 대표팀으로서는 2007년 이후 9년 만의 세계선수권 메달이었다.

2017년 전미선수권에서 우승해 세계선수권에 출전했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스위스의 피터 드 크루즈 팀에게 졌다. 2017년 11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대표팀 선발전에서는 우승하면서 슈스터는 통산 4번째 올림픽에 출전하게 됐다. 12월 믹스더블 대표팀 선발전에서는 코리 크리스텐슨과 호흡을 맞췄지만 같은 팀의 맷 해밀턴, 베카 해밀턴 남매에게 져 준우승했다.

올림픽 본 대회에서 3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캐나다의 케빈 쿠이 팀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는데, 결승전 상대였던 스웨덴의 니클라스 에딘 팀은 소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로, 예선에서는 6점차로 슈스터 팀이 졌었다. 하지만 결승전 경기 양상은 예선 때와 달랐는데, 5대5였던 8엔드 때 슈스터의 더블 테이크아웃 시도가 성공하면서 5득점을 하는 등 최종 점수 10대7로 슈스터 팀이 승리했다. 불과 4년 전에는 이런저런 이유로 '거부당한 자들'이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2017-2018 시즌 후 서드 타일러 조지가 휴식기를 갖기 위해 팀을 떠나면서 대신 크리스 플라이스를 영입했다. 2018-2019 시즌 새로 시작된 컬링 월드컵 2차전의 결승전에서 다시 스웨덴의 니클라스 에딘 팀을 만나는데 이번에도 슈스터 팀이 이겼다. 2019년 미국선수권에서 우승해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일본의 마츠무라 유타 팀에게 지는 바람에 준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한편 세계믹스더블선수권에도 다시 코리 크리스텐슨과 호흡을 맞춰 동메달을 땄다.

2019-2020 시즌 들어 컬링 투어에서 미국내 라이벌인 리치 루오호넨 팀이나 코리 드롭킨 팀에 비해 다소 부진했지만, 2020년 2월 미국선수권에서는 우승하면서 대회 2연패에 성공했다. 2021년 11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대표팀 선발전에서도 우승하면서 슈스터는 5회 연속 올림픽에 출전했다. 예선 4위로 결선에 진출했지만 영국과 캐나다에게 연속 패하며 최종 4위로 올림픽 일정을 마쳤다.


3. 수상 기록[편집]


남성
올림픽
금메달2018 평창단체전
동메달2006 토리노단체전
세계선수권
동메달2016 바젤단체전
유니버시아드
금메달2007 토리노단체전
믹스더블
세계선수권
동메달2019 스타방게르믹스더블


4. 역대 WCF 팀 랭킹[편집]


시즌순위포인트
2011-201297위20.0
2012-201341위47.5
2013-201427위92.7
2014-201521위108.2
2015-201611위256.1
2016-201720위176.7
2017-201813위242.2
2018-201912위281.5
2019-202019위181.9
2020-2021[3]20위181.9
2021-202224위124.5
2022-202313위188.3


5. 역대 팀원[편집]


시즌스킵서드세컨드리드
2002-2003피트 펜슨에릭 펜슨[4]숀 로제스키존 슈스터
2003-2004
2004-2005숀 로제스키조 폴로
2005-2006
2006-2007
2007-2008존 슈스터제프 아이작슨크리스 플라이스셰인 맥킨리
2008-2009제이슨 스미스제프 아이작슨존 벤튼
2009-2010
2010-2011크레익 브라운존 슈스터그렉 존슨데릭 캐스퍼
2011-2012존 슈스터잭 제이콥슨자레드 제젤존 랜즈타이너
2012-2013제프 아이작슨
2013-2014
2014-2015타일러 조지맷 해밀턴
2015-2016
2016-2017
2017-2018
2018-2019크리스 플라이스
2019-2020
2020-2021
2021-2022
2022-2023
2023-2024


6. 기타[편집]


  • 밴쿠버 동계올림픽이 끝난 후 2010년 여름에 결혼해 슬하에 두 아들을 뒀다.

  • 본업은 스포츠용품점의 직원이다.

  • 2020년 3월 아내가 코로나에 걸렸었다. 다행히 아내의 직업이 약사였던 덕분에 조기 검사로 확진 여부를 판정받아 완치할 수 있었다.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브리트니 보[5]와 함께 선수단 기수를 맡았다.
[1] 팀 계정[2] 개인 계정[3] 2020-2021 시즌은 코로나의 유행으로 인해 랭킹포인트를 집계하지 않았고, 팀원의 변화가 없는 한 2019-2020 시즌 포인트를 유지할 수 있었다.[4] 피트 펜슨의 동생[5] 원래는 봅슬레이 선수 엘라나 마이어스였으나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교체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5:25:48에 나무위키 존 슈스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